본문 바로가기

천사만나기

[임신 정기검진] 임신 시기별(전기,중기,후기) 정기검진 종류

반응형

임신 시기별(전기,중기,후기) 정기검진 종류

임신중 정기검진 빼먹으면 안되죠 임신부의 체중이나 혈압,소변검사를 통해서 단백뇨, 당뇨,

자궁저측정, 태아심음관찰, 심전도검사 등등 받아야할 검사가 너무 많습니다.

하지만 만나게될 아기천사를 생각하면 꼭! 빼먹지 말고 정기검진을 받도록 해야겠습니다.

임신시기별 정기검진 임신 정기검진 종류

 

1.임신 전기 정기검진

임신 초기에는 소변검사로 임신을 확인할 수 있으며 검진시 주로 자궁의 발육상태나 전체적

신체 이상의 유무를 보는게 목적입니다.

문진 : 과거병력과 임신력 등 현재 임신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요인에 대해서 정확하게 주치의 선생님께 말하도록 합니다. 과거에 앓았던 중요한 병과 그 과정, 가족의 건강상태, 과거의 임신과 출산, 유산 등을 정확하게 밝히는 것이 중요

진찰 : 자궁 진찰을 비롯해 머리에서 발끝까지 자세히 검사를 하게 됩니다. 몸무게, 혈압 등을 측정하고 자궁의 크기, 이상유무 등을 확인

혈액 및 소변검사 : 혈액검사로 빈혈, 성병의 유무, 혈액형을 알 수가 있습니다. 또 간염검사를 통해 간염보균자인지, 간염에 대한 항체가 있는지 확인합니다. 산모의 혈액형이 Rh 음성일 경우 출혈 등 만약의 경우에 대비해 각별한 주의와 관리가 필요하므로 임신부와 의사 모두 혈액형 검사를 통해 임신부의 혈액형을 정확히 알고 있어야 합니다. 소변검사에서는 요도, 방광 및 신장의 감염유무확인

이외 필요검사 : 자궁경부암 검사, 매독검사, 클라미디아 성병검사, 에이즈 검사를 받는 것이 좋으며초음파검사는 초기, 중기, 후기에 각각 1번씩 받아보는 것이 좋은데, 초기에는 정상임신을 진단하고 병적 임신을 조기에 발견하며 자궁과 난소의 이상도 쉽게 발견이 가능하다고 합니다.

2.임신중기 정기검진

임신 중반부의 정기검진은 임신전기와 비슷합니다.

문진 : 태동이 언제부터 시작됐는지 의사에게 알려 주세요. 마지막 월경일자가 불확실하거나 월경이 불규칙한 경우 태아의 첫 움직임은 분만예정일을 결정하는 중요한 정보로 활용됩니다.

진찰 : 임신부의 체중, 혈압측정, 소변검사를 하게 되며 이제부터는 태아의 발육을 측정하기 위해 자궁의 측정, 태아 심음관찰을 합니다.

초음파 검사 : 초음파 검사를 통해 태아의 성장 발육정도, 태아의 크기, 위치 및 태반의 위치, 모양을 진단할 수 있습니다. 또한 심장기형은 물론 태아의 기형 발견이 가장 용이한 시기입니다. 초음파 검사는 전혀 통증이 없는 검사로 산모도 함께 태아의 움직임, 심장의 박동을 눈으로 확인가능

기형아 검사 : 임신 15~18주에 엄마의 혈액으로 기형아 검사를 합니다. 혈액검사를 통해 모든 기형을 발견할 수 있는 것은 아니지만 몽고증, 척추이분증, 무뇌증 등은 발견 가능

당뇨병 검사 : 임신 24~28주에는 임신성 당뇨병 유무를 검사합니다. 임신부에게 50g의 포도당을 마시게 한 후 1시간 후에 혈액을 측정하는 검사인데 임신성 당뇨병에 걸릴 경우 임신부와 태아에게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다고 합니다.

소변배양검사 : 무증상세균뇨를 확인하기 위한 검사로 이로 인해 발병할 수 있는 모체의 신우염 조기진통을 예방할 수 있습니다.

3.임신후기 정기검진

임신 후기(말기)가 되면 더욱 자주 검진을 받아야 하며,체중, 혈압, 소변검사, 태아발육 측정은 모든 정기검진에서 공통적으로 시행됩니다.

문진 : 그동안 궁금했던 점이나 최근의 변화 등을 잘 메모해 두었다가 의사와 자세하게 상담하세요. 모든 산모의 경우가 조금씩 다르므로 본인의 일을 직접 의논하는 것이 최선의 방법입니다. 혹시 출혈, 통증이 있었다면 꼭 의사에게 알려야 합니다.

검사 : 임신후기가 되면 다시 한번 자세하고도 총괄적인 위험요인의 분석이 있어야 합니다. 빈혈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혈색소의 측정 등 검사를 반복 시행.

내진(자궁과 산도진찰) : 분만예정일이 가까워지면 최종적으로 내진(자궁과 산도진찰)을 하게 됩니다. 골반이 태아를 충분히 분만할 수 있는 크기 혹은 형태인지, 태아의 위치는 확실한자, 분만의 문격인 자궁경부의 상태는 어떤지 등을 보게 됩니다.

심전도 및 간기능 검사 : 임신 후기에는 심전도, 간기능 검사를 하여 임신부의 건강을 전체적으로 체크해 보는 것이 이상적입니다. 임신은 임신부 자신의 전체적인 건강상태를 점검해 볼 수 있는 좋은 기획이기도 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