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천사만나기

[임신 식생활]임신 개월별(주기별) 식생활 지침

반응형

임신 개월별(주기별) 식생활 지침

임신중 영양섭취 식생활은 참 중요합니다. 하지만 무작정 먹는게 아니라 주기별로

임신전부터 임신1개월까지 임신2개월부터 3개월까지 영양섭취로 식생활에 주의해야 될음식

먹어야될 음식이 개월별로 있다고 하네요. 오늘은 산모의 영양상태가 산모와 태아의 발달, 건강상태

에 많은 영향을 주는데 임신 주기별 식생활 지침에 대해 포스팅해 보겠습니다.

1.임신 전 3개월 ~ 임신 1개월: 엽산 필수 복용

엽산은 수용성 비타민B군의 하나로 콩, 시금치, 브로컬리 등의 푸른 잎 채소에 많이 들어 있지만

조리하거나 저장하면서 80%가 소실되므로 임신 초기에는 엽산 추가 섭취가 꼭 필요합니다.

엽산은 키위, 오렌지 주스 등에 많이 들어 있습니다.

2.임신 2개월 ~ 3개월: 영양에 대해 관심

 임신 후 3개월 까지는 임신 중 가장 불안하고 힘든 시기로 임신 5주부터 입덧이 시작되는데

엄마가 음식을 잘 못 먹으면 태아는 엄마 몸에 축적된 영양분으로 성장을 하게 됩니다.

입덧으로 음식을 잘 못 먹을 경우 임산부용 비타민이나 미네랄 영양제 등을 먹어 영양의 밸런스를

맞춰줘야 합니다

3.임신 4개월 ~ 5개월: 균형 잡힌 식사 계획

임신 4,5개월이 되면 체중이 늘기 시작하므로 균형 잡힌 질 좋은 한식 위주의 식사로 칼슘, 철분,

단백질, 비타민, 무기질이 부족하지 않게 해 주세요. 임신 15주 정도 되면 태반이 완성되고 태아의

각 장기 발육이 왕성하여 엄마로부터 많은 영양을 흡수하게 됩니다. 가공식품, 인스턴트 식품은

가급적 피하고 유기농 야채와 콩, 두부, 달걀 등을 많이 드세요. 저지방우유, 두유, 유제품, 치즈 등

 칼슘이 많은 식품을 간식으로 먹는 것도 좋습니다.

5개월부터는 임신빈혈을 예방하기 위해 철분제를 섭취합니다.

4.임신 6개월 ~ 7개월: 저염분 식사

임신 6,7개월이되면 조산 및 임신 중독증의 위험이 있는 시기이므로 염분을 줄인 식사를 해야하며,

짠 음식은 부종이나 고혈압의 원인이 되고 단백질 섭취가 부족하면 임신중독증에 걸릴 수 있으므로

 미네랄이 풍부한 신선한 야채, 과일, 해조류와 단백질이 풍부한 생선, 달걀 등을 드세요.

5.임신 7개월 ~ 8개월: 태아의 두뇌에 영양을 공급할 수 있는 식사

임신 7,8개월이 되면 태아의 두뇌가 성장하는 시기로 두뇌에 영양을 공급할 수 있는 식사가 좋으며

DHA는 등푸른 생선에 많이 들어 있으나 최근 수은이나 중금속 요염이 우려되므로 일주일에

2~3번 정도만 먹는 것이 좋습니다.

신선한 들깨나 들기름, 호두에도 태아의 두뇌를 위한 성분이 들어 있습니다.

6.임신 9개월: 소화가 잘 되는 음식 위주로 식사하세요

임신9개월 출산이 가까워 오면 몸도 무겁고 마음도 불안해집니다.

무리하여 많은 양을 먹기보다는 소량씩 자주 먹는 것이 좋습니다. 밥이나 빵 같은 음식을 줄이고

소화가 잘 되는 음식으로 골라 드시고, 임신 9개월부터는 모유가 잘 분비될 수 있도록 비타민 K가

함유된 녹황색 채소나 살코기, 생선, 콩, 해조류 등을 섭취하면 좋습니다.

반응형